반응형 Flutter69 The actual device runs before adding code in line.(ios) 실제 디바이스에 빌드 테스트를 할 경우 에러가 발생하게 됩니다. 에러 발생하기 전에 미리 아래의 파일안에 내용을 넣어두면 편리합니다. #include "Pods/Target Support Files/Pods-Runner/Pods-Runner.profile.xcconfig" NSBonjourServices _dartobservatory._tcp 끝 2022. 1. 15. [Flutter] Failed to register observatory port with mDNS with error [Flutter] Failed to register observatory port with mDNS with error 아이폰에서 실행을 하려하니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였습니다. Failed to register observatory port with mDNS with error -65555. 해결을 위해서 검색! 아래의 방법으로 해결하였습니다. ios -> Runner -> Info.plist add as below NSBonjourServices _dartobservatory._tcp 끝. 2022. 1. 9. Max line length in Android studio code editor 아래의 스샷처럼 타이핑을 하다가 중간에 거슬리게 세로 선이 있습니다. 이것을 늘려보도록 하겠습니다. . Mac - Android Studio > Preferences > Editor > CodeStyle > Dart > Line length: 150 에서 200 정도로 하면 거슬리지 않을 듯 합니다. 2021. 12. 19. Android Studio에 github를 연결하자 1. 먼저 github.com에 접속합니다. 오른쪽 사용자 아이콘에서 2. 왼쪽메뉴 ⇨ 아래에서 Developer settings 를 선택합니다. 3. 왼쪽메뉴 ⇨ Personal access tokens 4. Generate new token 5. 적당한 이름과 사용기간을 지정하시고 아래의 repo , admin:org, gist 부분의 체크박스를 하고 generate token 를 만듭니다. -- Android studio > Preferences > Version Control > GitHub + 를 누르면 이렇게 하면 소스 관리를 android studio 에서 할 수 있습니다. 끝. 2021. 10. 31. Flutter - Disable, Override Back Button widget WillPopScope 프로그램을 만들면서 뒤로가기 버튼을 누르면 안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. 이에 따라서 WillPopScope를 사용하면 방지할 수 있습니다. https://youtu.be/oCrKJrZUyGk 2021. 10. 10. [flutter] const keyword requirement remove flutter 2.5 버전이 업데이트 되면서, 모든 정적 위젯에 const KEYWORD를 입력해야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습니다. 무시하고 만들수도 있지만, idea에 에러표시가 된 상태로 만들기에는 조금은 신경쓰이게 됩니다. 따라서 아래의 내용을 추가 하면 const 에러 표시를 지울수 있습니다. 1. analysis_option.yaml file add the following: -add 21.10.20 prefer_const_constructors: false prefer_const_literals_to_create_immutables: false prefer_const_constructors_in_immutables: false 2. terminal as below dart fix https://y.. 2021. 9. 27. 이전 1 ··· 5 6 7 8 9 10 11 12 다음 반응형